본문 바로가기

구안동김씨 돌림자

구안동김씨

김자점(金自點)

         1588(선조21)∼1651(효종2)--(익)

아래 제목을 클릭하면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1.낙서공 소개

2.출생 추정지 답사

3.교서 소개

4.자점보 소개

5.귀양추정지

6.낙서공 구제 차자

7.낙서공 정치담론

8.각종설화소개

9.연구문헌

10.창덕궁 재건기록

11.낙서공의 옥사

 

12.각종 문헌 기록 내용 종합

     1)연려실 기술      2)대동기문      3)비변사등록       4)만사

http://www.andongkimc.kr/htmls/ankim04-14.htm

1651년(효종2년) 역적의 누명을 씌워 처형하게 되었다. 이로 말미암아 익원공 김사형의 후손들은 그 연류를 두려워하여 먼지방으로 자취를 감추게 되고 심지어 족보와 조상의 문적까지도 불태워 버렸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우리 구안동 김씨 가문은 사양길에 접어들게 되고 말았다.

 

이로서 원당이 득세하여 신안동 김씨 선원 김상용, 청음 김상헌 형제가 상신에 올라 세도를 잡음으로서 이후 순조―헌종―철종대에까지 걸쳐 60년간 신안동 김문의 세도정치가 전개된 것이다. 그러나 이 대옥사를 신문한 사람이 원당 중심의 인물인 원두표였으니, 권력을 잡기 위한 치열했던 시대의 정치세력의 하나로 보아야 할 것 같다.


  • 김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다.자(字)는 성지(成之), 호는 낙서(洛西), 본관은 안동이다. 그는 인조 반정에 참여하였고 귀인 조...

    위키백과




    • 안동 (舊安東金氏)는 경상북도 안동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혹칭 상락 (上洛金氏)라고도 한다. 시조 일긍(金日兢)은 고려조에 태사대광(太師大匡)를 역임했다. 《 분관록》과 《증보문헌비고》 및 《조선씨족통보》등에 의하...

      위키백과


    '구안동김씨 돌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안동김씨  (0) 2019.10.05
    괴산의 안동김씨  (0) 2018.06.10
    구안동김씨  (0) 2018.05.03
    구안동 , 신안동  (0) 2018.04.10
    구안동김씨  (0) 2016.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