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주이씨

국립 전주박물관

이것이 조선 왕의 글씨

등록 : 2010.01.25 21:07수정 : 2010.01.25 21:07

효정 어필 칠언시

국립전주박물관 특별전

국립전주박물관은 경기전에 있던 병풍 1점과 왕의 글씨 5점 등 모두 12점의 유물을 5월 말까지 공개한다.

‘일월오봉병’은 전주한옥마을에 위치한 경기전의 조선 태조 어진(모사본) 뒤에 놓여 있던 병풍이다. 해와 달 다섯 봉우리가 그려진 모습이 유가의 음양오행론적 우주론 등을 반영했다. 일월오봉병은 그 자체만으로 왕의 존재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닌다.

글씨는 조선 태조, 효종, 인조, 영조, 정조 등의 어필 5점을 선보인다. ‘효종 어필 칠언시’는 행서와 초서로 쓴 것으로 올해 보물 제1628호로 새롭게 지정됐다. 또 정조가 검정 비단 여덟 폭에 금가루를 물과 아교에 섞어 그린 ‘니금사군자도’도 만날 수 있다.

이밖에 전주 이씨 고림군파 종중문서(보물 718호) 중에서 재산을 분배하는 문서인 ‘화회문기’와 조선 중기 화가 김명국이 그린 ‘이상길의 초상화’(보물 792호) 등도 공개된다.

임진아 학예연구사는 “개관 20돌을 맞아 조선 왕실의 본향인 전주의 의미와 위상을 새롭게 하는 전시로 기획했다”며 “올해 하반기에 왕의 글씨전과 관련한 학술 심포지엄을 열겠다”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종 목 보물  제718호
명 칭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 (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一括)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문서류/ 문서류
수량/면적 일괄
지정(등록)일 1981.03.18
소 재 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249, 국립전주박물관 (효자동2가,국립전주박물관)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칠산군파종중대표 이춘재
관리자(관리단체) 국립전주박물관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에 대한 설명입니다.

전주이씨 고림군파 종중 문서 일괄(全州李氏 高林君派 宗中 文書 一括)은 조선 연산군 8년(1502)부터 선조 26년(1593)까지의 고문서 4매이다.

재산을 나누는 문서인 허여문기(1502) 1매와 재산 주인이 죽은 후 그의 자식들이 모여 합의하여 재산을 나눈 문서인 동복화회문기(1528) 1매, 동복화회입의(임진왜란 이전) 1매, 동복화회성문(1593) 1매 등이다.

이것들은 태종의 둘째아들 효령대군의 손자인 고림군 이훈(李薰)과 그의 아들 칠산군 선손(璿孫) 양대간에 재산을 상속하고 자녀들에게 분배한 내용이 담긴 문서이다. 허여문기와 동복화회문기는 고림군 이훈이 그의 아들 칠산군에게 양여한 문서이고, 동복화회입의와 동복화회성문은 칠산군이 그의 친 형제자매와의 합의를 통해 그들에게 재산을 분배한 문서이다.

조선시대 왕실 내에서의 재산상속에 관한 연구와 경제사 연구에 있어서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용어사전 목록
   

 

  
문화재 담당부서 : 유형문화재과 - 상세문의 
(우)302-701 대전광역시 서구 청사로 189     정부대전청사 1동 8~11층, 2동 14층문화재청 고객지원센터 전화번호 1600-0064

COPYRIGHT(C)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LL RIGHTS RESERVED.

'전주이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척  (0) 2015.06.27
전주이씨 , 도조 , 완천대군파   (0) 2015.03.15
10촌동생  (0) 2015.03.07
추존왕  (0) 2015.01.01
이춘 ( ? ~ 1342) , 추존왕  (0) 2014.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