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일독립운동사

김 홍일(1898~1980)

김홍일 (1898년)              본관은 김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홍일                     

출생1898년 9월 23일
대한제국 평안북도 용천군 양하면 오송동
사망1980년 8월 8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사인노환 (자연사)
거주지대한제국 대한제국->중화민국 중화민국->대한민국 대한민국
국적대한제국 대한제국, 중화민국 중화민국, 대한민국 대한민국
별칭중국식 가명은 왕웅
학력귀주 육군군관학교 졸업
직업독립운동가·군인·공무원·정치인·사회기관단체인
김홍일
1898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
태어난 곳평안북도 용천
복무국민혁명군 (중화민국)
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26년 ~ 1951년
최종 계급중장
서훈 내역건국훈장 국민장
을지무공훈장
태극무공훈장

김홍일(金弘壹, 1898년 9월 23일 ~ 1980년 8월 8일)은 중화민국의 군인이자 일제 강점기 한국의 독립운동가 출신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중국군 현역 군인 신분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를 도와 윤봉길, 이봉창 거사를 지원하였고 한국 광복군 참모장을 거쳐 국군 준장으로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1961년 5·16 군사 정변 직후에는 외무부장관을 지냈다. 평안북도 출신으로, 중국어 이름은 왕웅(王雄). 본관은 김해이다.

 

생애[편집]

독립운동가[편집]

평안북도 용천 출생으로 오산학교에서 남강 이승훈, 고당 조만식 선생문하에서 수학하였고, 이후 오산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중 일경의 감시와 탑압을 피해 중화민국으로 망명하였다. 1920년 구이저우의 육군군관학교를 졸업, 국민혁명군 소위로 임관 이후 독립운동에 투신, 1923년에는 한국의용군사령관을 지냈다.

국민혁명군 활동[편집]

장제스의 국민혁명군에 투신하여 1926년 중국국민혁명군 동로군 소교 참모로서 북벌전쟁에 참가하였다. 이후 연대장, 군단 및 집단군 참모장, 사단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1939년에는 외국인으로서는 최초의 중앙군 소장에 이르렀다. 1943년에는 중국 육군대학을 졸업하였다. 193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김구 주석의 요청으로 폭탄을 제작하여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였다.

광복 이후[편집]

1945년 11월 국민혁명군에 다시 복귀하여 두율명 소장의 동북보안사령부 고급 참모 겸 한교사무처장으로 부임하였고, 중장(2성장군)으로 남경의 국방부 정치부 전문위원으로 부임하였다.

'항일독립운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 백린  (0) 2014.07.06
해외 독립운동  (0) 2014.07.04
광복군  (0) 2013.12.05
태평양전쟁  (0) 2013.05.02
경술국치  (0) 2013.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