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 합동 “납골당 피해 관련자 책임 묻겠다”
- 입력:2013.09.25 17:54
- 수정:2013.09.25 21:07

예장 합동은 10년 넘게 끌고 온 납골당(경기도 고양 벽제동 소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액의 피해를 입힌 교단 관계자들에게 책임을 묻기로 했다. 그러나 민·형사 소송을 지켜보고 결정한다는 입장이어서 실효성이 의문시되고 있다.
총대들은 25일 경기도 수원과학대 신텍스컨벤션에서 열린 제98회 총회에서 ‘은급재단납골당문제 사법처리전권위원회’의 보고를 받고 장시간 토론을 벌였다.
위원회는 “납골당 사태는 고 임 모, 김 모 목사가 은급재단 기금 20억원을 이사회 결의 없이 불법 투자하면서 시작됐다”면서 “자금 회수를 위해 추가 투자를 했으며, 충분한 정보나 검토가 없었고 업무를 관리·감독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공동사업자에게 휘둘렸다”고 분석했다. 위원회는 이어 “문제는 관계자들이 치밀한 준비 없이 매각을 추진해 70억원 이상의 손해를 떠안게 됐다”고 지적했다.
보고를 청취한 총대들은 ‘납골당 사업에 참여해 거액의 손실을 끼친 인사들 대한 형사 고발과 민사상 손해배상, 교회법에 따른 처벌’을 결의했다. 그러나 관련자들에 대한 손실액 배상 및 불응 시 5년간 총대권 정지는 무산됐다. 결국 민·형사상 소송 결과를 지켜보며 책임을 묻기로 했다는 의미다. 대신 총대들은 소송의 원할한 진행과 은급재단 기금의 신뢰회복을 위해 후속처리위원회와 은급재단발전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교단은 이날 군목 합격자에 한해 신대원 입학 시점부터 강도사 고시 응시 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로서 타 교단에 비해 성직취득 경력이 없어 한 계급 낮은 중위로 임관되는 불합리한 구조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또 선거규정 개정논의에서 지난 5월 실행위원회와 선거관리위원회가 수정·공포했던 선거법을 원점으로 되돌려 놨으며, ‘총회 현장에서만 선거법을 개정할 수 있다’는 부칙조항을 삽입했다. 한편 24일 저녁회무에선 인터콥과 교류 단절을 결의하고 ‘베리칩’ ‘666’을 비성경적이라고 규정했다. ‘목회자 윤리강령’과 ‘목회자 윤리선언문’은 좀더 연구해 논의키로 했다.
수원=글·사진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기독교 (0) | 2014.10.24 |
---|---|
방지일 (0) | 2014.10.12 |
대한예수교장로회(개혁) (0) | 2014.09.02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0) | 2014.08.25 |
기독교한국침례회 (0) | 201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