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주씨
이 아침의 인물
주시경 "나라의 바탕을 세우는 길은…"

“나라를 보존하고 일으키는 길은 나라의 바탕을 굳세게 하는 데 있고, 나라의 바탕을 굳세게 하려면 나라의 말과 글을 존중하여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세종대왕이 만든 훈민정음을 지금의 한글 모습으로 재정립한 근대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의 말이다.
선생은 1876년 황해도 봉산군에서 태어났다. 서당 훈장이던 아버지로부터 한학을 배웠지만, 어려운 한문에 회의를 느끼고 우리말에 관심을 가졌다. 11세 때 큰아버지를 따라 상경, 배재학당에 들어가 신학문을 배웠다. 1895년 배재학당 만국지지학(역사·지리) 강사였던 서재필을 만났다. 두 사람은 ‘한글계몽 운동’으로 의기투합했다. 선생은 이듬해 발간된 독립신문의 교보원(교열 보는 사람)으로 임명됐다. 국어사전 편찬과 동식법(맞춤법) 연구를 위해 훗날 조선어연구회와 한글학회의 씨앗이 된 ‘국문동식회’를 만들었다.
1898년 만민공동회 사건으로 치른 옥고는 선생에겐 ‘시련’이었으나 대한민국 한글 역사엔 ‘축복’이었다. 일체의 대외활동을 접은 선생은 우리말 연구와 교육에만 매달렸다. 1898년부터 집필한 ‘대한국어문법’을 1906년 완간했고, 1908년 ‘국어문전음학’을, 1910년 ‘국어문법’을 발간해 한글의 이론적 토대를 세웠다. 1907년엔 국어강습소를 세우고, 20여곳의 학교에 책보따리를 들고 다니며 우리말과 역사를 가르쳤다. 선생의 별명 ‘주보따리’는 이때 생겼다.
최현배 심명균 등 많은 제자를 길러내며 밤낮으로 우리말 연구에 몰두했던 선생은 1914년 여름 38세의 젊은 나이로 갑자기 세상을 떴다. 병을 앓았다는 기록은 찾을 수 없다. 99년 전 오늘이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동아대, 주시경 선생 영정 최초제작 공개
뉴시스 강재순 입력2009.05.13. 10:56기사 내용
【부산=뉴시스】동아대학교 회화과 정갑주 교수가 우리나라 개화기 한글의 대중화와 근대화에 개척자 역할을 한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1876~1914)의 영정을 지난달 완성하고 이를 공개했다.
동아대는 12일 주시경 선생의 영정을 공개한데 이어 지난해 봄 주 선생의 문중 어르신들의 부탁으로 정 교수가 영정제작에 들어 간지 1년여 만에 영정제작을 완료했다고 13일 밝혔다.
그동안 주 선생의 또렷한 사진이나 영정이 없어 애태우던 문중과 한글학자들의 바램으로 영정제작을 하면서 정 교수는 주 선생을 기억하는 문중 관계자 10여 명을 수차례 만나 외모를 세심하게 듣고 빠짐없이 수첩에 기록해 영정을 그려나갔다.

정 교수는 업무 시간 외 밤과 휴일을 이용해 연구실에서 작업을 하면서 그렸다 찢기를 수십차례 반복해 마침내 검은 두루마기를 입고 평소 즐겨 신었다는 짚신을 신은 채 작은 나무 걸상에 앉아 있는 모습의 주 선생 영정을 완성했다.
지난달 말에 완성된 주 선생의 영정은 40호 크기로 마치 사진을 보고 있는 듯 표정이 살아있다는 평을 받고 있으며, 경남 함안군 칠서면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주세붕 선생(본관 상주)의 기념관에 전시돼 있다.
한편 주시경 선생은 우리말의 문법을 최초로 정립하고 '국문문법'(1905), '대한국어문법'(1906) 등 여러 권의 한글관련 저서를 펴냈으며, 2007년 한국은행이 고액권 화폐를 발행하기 위해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선정한 10명의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정 교수는 "주시경 선생의 영정을 그리는 동안 한글학자들의 격려전화도 많이 받았으나 우리나라 역사상 비중이 큰 분의 영정인데다 근거자료가 부족해 그리는 동안 엄청난 중압감을 받았다"고 털어놓았다.
국전 심사위원과 현재 한국미술협회 이사로 국내 중진 동양화가인 정 교수는 동아대 2대 총장을 지낸 정수봉 선생의 영정 및 초상화를 그렸으며 이번 주선생의 초상화 제작은 우리나라 초상화의 1인자로 불리는 아천 김영철 화백의 추천으로 이뤄졌다.
강재순기자 kjs0105@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상주 주씨(尙州 周氏)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주이(周頤)는 당 덕종 때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내고 신라에 들어와 시위부대감(侍衛府大監), 병부령(兵部令), 상주총관(尙州摠管)을 역임하고 정착하였다. 시조 주이(周頤)는 당 덕종 때 병부시랑(兵部侍郞)을 지냈으며, 786년(신라 원성왕...
한국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