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안동김씨 돌림자
(구)안동김씨
오르막내리막
2015. 11. 28. 11:28
김학묵
동의어 전직 복지기관단체인, 전직 정무직공무원, 전직 연구직공무원 다른 표기 언어
툴바 메뉴
소속 | 한국뇌성마비복지회 |
---|---|
출생 | 1916년, 충북 음성 |
사망 | 사망 |
직업 | 전직 복지기관단체인, 전직 정무직공무원, 전직 연구직공무원 |
학력 | 하딩대학교 |
제공처
- Joins인물정보
- 2011.10.24
나비넥타이의 노신사 고 김학묵 회장님을 추억하며
꺽지 못할 의기와 호탕한 웃음 뒤엔 늘 너그러움이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03-05-25 01:06:241
인생을 살면서 인생의 지표가 되어줄 만큼 존경하는 분이 있는 사람은 복받은 사람이다. 내게도 그런 분이 한 분 계시다.
그분이 바로 이 땅에 재활이라는 용어를 뿌리내리게 한 고 김학묵 한국뇌성마비복지회 전회장님이다. 뇌성마비인들의 재활과 복지는 물론 우리 나라 사회복지계의 선각자이며 최고 어른으로 계시다가 2년전 2001년 5월 15일에 세상을 떠나시기 전까지 꼭 10년을 곁에서 모신 분이다
타고나신 건강에 사람을 휘어잡는 카리스마를 지닌 눈빛과 목소리로 언제나 위풍당당하던 노신사, 빨간 나비넥타이와 중절모가 잘 어울리고 그 멋있는 외모에 걸맞은 매력과 유머를 지닌 그 분의 모습은 아직도 눈에 선연하게 떠오른다.
나비넥타이를 즐겨 매는 노신사의 매력과 유머를 늘 지니셨던 김학묵 회장님은 누구도 꺽지 못할 의기, 호탕한 웃음 뒤에는 너그러움이 늘 숨겨져 있어 늘 사람을 감싸주는 정다운 분이셨다.
늘 책을 가까이 두시고 새 지식과 새 생각들을 얻고자 노력하셨으며 "일신 우일신" 하라고 쩌렁쩌렁하게 호통치던 음성은 영원히 지워지지 않을 듯하다.
언젠가 한번은 요사이는 살기가 어려운지 남을 돕는 일에 그리들 관심이 없다고 원망 섞인 말씀을 드렸더니, 김학묵 회장님은 세상 인심 탓하지 말라. 오히려 남의 인심이 나의 인심보다 낫고 모든 인간은 선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며 네 자신 스스로가 먼저 실천하라고 호되게 야단을 치신 적이 있다.
결재를 맡으러 가면 뇌성마비인들에게 무엇이든 무조건 할 수 있다는 용기를 심어주는 것은 바람직한 게 아니다. 아무리 불편한 몸이라도 하느님께서 주신 한가지의 재주는 꼭 있는 법이니 그것을 잘 발견하여 계발하고 살리는 게 중요하며 끊임없이 정진해야 한다고 강조하시곤 하였다.
지난 5월 15일 돌아가신지 2주기를 맞이하였는데 김학묵 회장님을 떠올리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나 역시 이제서야 충북 음성에 있는 그 분의 묘소에 다녀왔다. 그분이 마지막 세상과 이별하시던 눈물로 받쳤던 시가 그 분의 비석에 새겨져 있다. 내게 이 한편의 시를 바칠 수 있게 하신 것은 그분의 사랑과 뜻이 끝나지 않고 계속 되어짐을 보여주기 위함이었으리라.
먼길 가시는 당신에게
- 중략 -
"당신은/우리에게 꿈과 희망의 싹을 틔워 주셨지요. / 이제 가지를 제법 뻗은 나무로 자라나 / 당신의 그늘이 되어드리기 위해 고개를 드니/당신은 이별의 손짓을 하며 먼길 가시려 합니다/ ' 이 생명과 힘을 눌린 것을 쳐들고 굽은 것을 펴는데 쓰리로다, 부리리로다' 하신 당신의 말씀만이 떠나신 자리에 더욱 형형 하게 빛나고 있습니다. … - 중략 -"
2년전의 그분의 떠나가심을 슬퍼하고 애도하는 눈물은 이제는 가셨지만, 아카시아꽃 향기 흩날리는 5월이 되면 병석에서까지 뇌성마비인들의 재활에 고심하셨던 그분의 참사랑과 봉사의 실천을 기억하게 될 것이다. 비석에 새겨진 시어들이 비바람에 씻겨 없어진다 하더라도 그분의 의지와 뜻, 살아오신 흔적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초석이 되어 남아있을 것이다.
최명숙(cmsook1009@naver.com)
고 김학묵 이사장 공덕비 건립 추진 | ||||||
감곡면 왕장리 체육공원 | ||||||
| ||||||
대한적십자사 부총재, 한국뇌성마비협회이사장을 역임한 고(故)김학묵의 공덕을 추모하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 주기 위한 공덕비 건립을 추진 하고 있다. 감곡면 왕장리 체육공원에 건립 추진중인 공덕비는 각급기관단체와 사회단체의 성원으로 추진하고 관내주민뿐아니라 외부인들도 볼 수 있는 체육공원을 선택해 청소년들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 할 계획이다. 이번 공덕비 건립은 총 9백여만원이 투입되고 규모는 3단으로 제작 되며 1단은 가로 2백55cm, 세로 60cm, 2단 가로 2백25cm, 세로 45cm, 3단 가로 1백80cm, 세로 1백20cm 건립할 예정이며 2001년 12월에 착공에 들어가 2002년 3월에 준공 예정 이다. 고(故)김학묵은 1916년 감곡면 상평리에 태어나 감곡초교를 졸업하고 1983년 3월에 고려대학교 법과를 졸업하여 1961년에 미국 아칸사주 하딩대학 명예법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8년 서울특별시 비서관으로 관계에 진출한 고(故)김학묵은 1960년 보사부 차관, 1972년 대한적십자사 부총재 역임, 1978 한국뇌성마비협회이사장 등을 역임하면서 세계평화 복지, 박애 정신을 구현한 거목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남북적십자회담을 최초로 성사시킴으로서 남북대화의 장을 실현 시키는데 큰 공적을 세웠다. | ||||||
|
故 김학묵 한국 뇌성 마비 복지회장의 발자취보사부 차관 지내면서도 전셋집 생활
음성신문 | webmaster@usnews.co.kr
|
승인 2001.05.29 00:00: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