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이씨
이 범석 - 광평대군파
오르막내리막
2012. 9. 9. 09:52
이범석 (1900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범석 | |
출생 | 1900년 10월 20일![]() |
---|---|
사망 | 1972년 5월 11일 (71세) 새벽 5시 43분![]() |
사인 | 병사(심근경색) |
거주지 | ![]() ![]() ![]() |
국적 | ![]() |
별칭 | 호는 철기(鐵驥) 다른 이름은 왕운산, 인남, 철기(哲琦), 이국근(李國根), 이국진(李國鎭) |
학력 | 중국 윈난 육군강무학교 졸업 |
직업 |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가, 정당인 |
종교 | 대종교 |
배우자 | 김마리아 |
자녀 | 아들 이부흥 아들 이인종 |
부모 | 아버지 이문하(李文夏) 어머니 연안 이씨(延安 李氏) 계모 김해 김씨(金海 金氏). |
친척 | 손자 이규준 손자 이규원 자형 신석우 이복 남동생 이범혁 |
웹사이트 | 철기 이범석 기념사업회 |
이범석 | |
---|---|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 | |
별명 | 호 철기(鐵驥), 다른 이름은 왕운산, 인남, 철기(哲琦), 이국근(李國根), 이국진(李國鎭) |
태어난 곳 | 대한제국 한성부 |
죽은 곳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복무 | 중화민국 육군, 대한독립군 대한광복군 |
복무 기간 | 1919년 ~ 1946년 |
최종 계급 | 대한광복군 중장 |
주요 참전 | 청산리 전투, 중일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
서훈 내역 | 1963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대통령장 |
기타 이력 | 중국 동북항일군 작전과장, 육군 제3로군 참의급(參議級) 고급참모(중국군 소장)겸 중국군 제3집단군 제50군단 참모처장, 제3집단군 55군단 참모처장. 전역후 한국 광복군 육군소장 임관, 북로군정서 중대장, 대한민국 정부 1대 국무총리, 국방부장관, 주대만대사, 내무부장관 |
이범석(李範奭,리범석, 1900년 10월 20일 ~ 1972년 5월 1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가이다. 고등학교 재학 당시 중국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1919년 만주에서 신흥무관학교와 북로군정서 등지에서 항일독립활동을 하였으며, 북로군정서 연성대장으로 청산리 전투에 참전하기도 했다. 그 뒤 소련과 만주에서 활동하던 중 중국으로 건너가 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 광복군의 중장으로 광복군 참모장과 제2지대장 등을 지냈다. 1945년 귀국을 시도했다가 강제로 상해로 되돌려보내졌고 1946년 귀국하였다. 귀국 후 안호상과 함께 조선민족청년단을 결성하여 활동하였고 반공주의 정치 활동을 하였다.
김구의 남북협상에 반대하여 이승만에 협력, 단정 수립에 동참하여 1948년 7월 31일 부터 1950년 4월 20일까지 제1대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역임하였고 8월 15일부터는 국방부 장관도 겸임하였다. 이후 주중국대사와 내무부 장관을 거쳐 1952년 제2대 부통령 후보에 출마했고, 1956년 제3대 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이승만의 견제로 낙선하였다. 1960년 이후에는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다가 탈당, 국토통일원 고문 등을 역임했다.
한국의 초기 나치스 연구자의 한 사람이기도 했다. 세종대왕의 5남 광평대군의 17대손이며 이문하의 아들이다. 아호는 철기(鐵驥)이며 다른 이름으로는 왕운산(王雲山), 인남(麟男), 철기(哲琦), 이국근(李國根)[1], 이국진(李國鎭) 등이 있다. 본관은 전주(全州)이며 경성부에서 태어났다.
목차[숨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