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안동김씨 돌림자

신안동김씨

2009.08.14 | 한겨레 | 다음뉴스

끝에 후유증으로 숨졌고, 부친을 잃은 석동(1923~1983·애국장 서훈)은 큰아버지 김의한이 있는 중국으로 건너가 최연소 광복군으로 활동했다. 1928년 상하이에서



3대 걸친 독립운동…찾을 길 없는 상하이 유해

등록 :2009-08-14 14:27수정 :2010-11-09 21:15

  • 페이스북
  • 트위터
  • 스크랩
  • 프린트

크게 작게

1900년대 중반 서울 청운동 백운장 자택에서 찍은 동농 김가진 선생의 가족 사진. 가운데 양복을 입은 이가 환갑 무렵의 동농, 맨일 오른쪽 한복을 입은 이가 부인 이씨, 맨왼쪽이 셋째아들 의한이고, 이씨가 안고 있는 아기가 넷째아들 용한이다. 의한의 외아들 김자동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 제공
1900년대 중반 서울 청운동 백운장 자택에서 찍은 동농 김가진 선생의 가족 사진. 가운데 양복을 입은 이가 환갑 무렵의 동농, 맨일 오른쪽 한복을 입은 이가 부인 이씨, 맨왼쪽이 셋째아들 의한이고, 이씨가 안고 있는 아기가 넷째아들 용한이다. 의한의 외아들 김자동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 제공
[친일·항일 ‘굴곡진 100년사’]
고관 출신 임정고문…정작 유공자 대접 못받아
증손녀는 노동운동…“노블레스 오블리주 표상”
김자동(80)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사업회장은 13일 ‘집안 어른들 얘기 좀 해달라’는 부탁에 “우리 집안은 그저 원칙에 따라 정직하게 살려고 노력했을 뿐”이라며 손사래를 쳤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그의 집안만큼 ‘노블레스 오블리주’(사회 고위층의 도덕적 의무)를 실천한 가문을 찾기 힘들다고 역사학자들은 입을 모은다.

1930년대 중반 당시 중국의 수도였던 난징에서 찍은 김의한-정정화 부부와 그 아들 자동의 아홉살 무렵 사진. 성엄 김의한 부부는 상하이 임시정부 시절 동농가 함께 했다.  
1930년대 중반 당시 중국의 수도였던 난징에서 찍은 김의한-정정화 부부와 그 아들 자동의 아홉살 무렵 사진. 성엄 김의한 부부는 상하이 임시정부 시절 동농가 함께 했다.  
김 회장의 집안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세도가인 안동 김씨 가문으로, 그의 할아버지는 구한말 농상공부 대신 등을 지낸 개화파 관료 동농 김가진(1846~1922)이다.

동농은 1910년 나라를 잃은 뒤 실의에 빠져 두문불출하다 3·1운동을 만났고, 그 뒤 비밀결사 단체인 ‘조선민족대동단’을 결성하며 본격적인 독립운동에 나섰다.

일제의 삼엄한 감시 탓에 국내 활동에 한계를 느낀 동농은 1919년 10월, 3남 의한과 함께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곧이어 동농은 고종의 다섯째 아들인 의친왕 이강을 상하이로 망명시키려다 실패한 ‘대동단 사건’을 일으킨다. 당시 일제는 임시정부를 두고 “사회 하층민들이 만든 대수롭지 않은 모임”이라고 선전했으나, 동농의 망명과 이강의 망


  • 김의한 (1900년 ~ 1964년 10월 9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신 안동.1900년 독립운동가 동농 김가진의 아들로 출생했다.1919년 비밀결사 대동단(大同團)에 가담했고, 아버지 김가진과 함께 상하이로 망명했다. 이후대한민국임시정부와 명운을 같...

    위키백과

가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Picto infobox prétendant à un trône.png
김가진
Kim Ga-Jin Portrait.jpg
작위
{{{작위}}}
신상정보
출생일 1846년
사망일 1922년 7월 4일 (76세)
부친 김응균
자녀 김의한

김가진(金嘉鎭, 1846년 음력 1월 29일 ~ 1922년 7월 4일)은 조선 말기문신이다. 후에 독립운동가로 활동한다.

자는 덕경(德卿), 호는 동농(東農), 본관신 안동. 병자호란강화성에서 순절한 문충공 선원 김상용의 11대손으로 이조참판 수북 김광현의 직계후손이며 예조판서 김응균의 아들이다.

판사대신 주일공사(駐日公使)를 역임하고 갑오개혁때 군국기무처회의원(軍國機務處會議員)이 되어 내정개혁에 참여했다. 독립협회 창설에 참여했고, 대한협회회장으로 한일합방을 주장하는 일진회와 대립했다. 일제강점후 조선귀족령에 의해 남작작위가 주어졌다.

1919년 의친왕 망명기도사건에 가담하였고, 자신 역시 탈출,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참여하였다. 아호가 동농이므로 동농 김가진으로 부른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371186.html#csidx7633e7968a27a088a363a9b64856118


'신안동김씨 돌림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극효 (1542년 9월 16일 ~ 1618년 2월 3일)  (0) 2021.03.19
신안동김씨  (0) 2021.03.14
신안동김씨  (0) 2019.08.20
신안동김씨  (0) 2019.08.04
신안동김씨  (0) 201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