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린
이린(李隣[1]/李璘[2])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의방(李義方)의 동생이며,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의 6대조이다.
정중부(鄭仲夫, 1106년 ~ 1179년 10월 18일 (음력 9월 16일) [1])본관은 해주
정도전(鄭道傳, 1342년[2]~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 본관은 봉화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본관은 나주
완창대군파,완원대군파, 완천대군파, 완성대군파
목차
[숨기기]- 1 생애
- 2 가계
- 3 이린이 등장한 작품
- 4 관련 항목
- 5 참조
이의방
이의방(李義方, 1121년 ~ 1175년 1월 12일(1174년 음력 12월 18일))은 고려시대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이며 무신정변의 주역 중의 한사람이다. 본관은 전주(全州)로, 대장군 이용부(李勇夫)와, 정승 이형(李珩)의 딸 이씨(李氏)의 차남이다. 태조의 6대종조부이기도 하다.
1170년 8월(고려 의종 23년) 정중부, 이고와 함께 무신정변을 일으켰고, 딸을 명종(明宗)의 태자인 강종비 사평왕후 이씨로 들였으나 그의 실각과 함께 폐출되었다.
이연계와 이원계[편집]
그의 이복 형 이원계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에 부정적이었고, 고려에 충성을 바칠 것을 애써 설득하기도 하였으나 끝내 그의 마음을 되돌리지 못했다. 이원계는 1388년 죽으면서 아들들에게 자신과는 다르니 숙부를 따를 것을 유언하며 죽었다. 그의 6촌 형 대흥군(大興君) 이연계(李連桂)는 고려말기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과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역임했다. 이연계 역시 사람을 보내 그의 새 왕조 수립을 만류하였으나, 조선 태조는 듣지 않았다. 실망한 이연계는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으로 낙향하였고, 이후 이연계의 후손들은 그를 시조로 하여 대흥 이씨로 분관하였다.[24]
분적[편집]
전주 이씨에서 갈라진 대흥 이씨와 영해 이씨가 있다. 대흥군(大興君) 이연계(李連桂)는 전주 이씨 22세에서 분관한 대흥 이씨(大興 李氏)의 시조이다. 대흥군은 고려말기에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정3품)과 명나라 관직으로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다. 대흥군은 태조 이성계와 재종간 임에도 불구하고 불사이군의 절의를 굽히지 않고 끝까지 조선 개국을 반대하였다. 영해 이씨 시조 이연동(李延東)은 신라(新羅)때 사도(司徒)를 지낸 완산 이씨(完山 李氏) 이입전(李立全)의 후손(後孫)이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