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주주씨

상주주씨

백과사전


  • 우리나라 군인이자 공무원. | [생애] 고향은 경상남도 함안이며, 본관은 상주이다. 1927년 9월 30일 태어나 2005년 3월 14일 사망하였다. 일본 오기마치(扇町) 상업학교를 거쳐 1944년 일본육군비행학교를 수료하고, 1950년 4월에 공군사관학교 소집 2기로 졸업하였다. 1959년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63년 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주영복(周永福, 1927년 9월 30일 ~ 2005년 3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가, 행정관료이다. 본관은 상주(尙州)이며 1927년 9월 30일 경상남도 함안(咸安)에서 출생하였다.일본 오사카 오기마치(扇町) 상업중학교를 졸업한 후 1945년 일본 후쿠오카 현 미이 군 다치아라이(大刀洗) 육군항공학교를 수료했다. 1949년...

    한국어 위키백과
  • 인물 사전
    주영복(周永福)

    [요약정보]

    UCI G002+AKS-KHF_13C8FCC601BCF5B1927X0
    생년 1927
    졸년 2005
    시대 대한민국
    본관 상주(尙州)
    활동분야 군인/공무원

    [상세내용]

    주영복(周永福)에 대하여
    1927년 9월 30일~2005년 3월 14일. 현대 군인‧공무원이다.

    본관은 상주(尙州)이고, 출신지는 경상남도 함안(咸安)이다.

    부인은 박봉자이다. 슬하에 아들 주용식과 딸 주금순‧주애순‧주비자를 두었다.

    일본 오기마치상업학교[扇町商業學校]를 졸업하였고, 1945년 일본36교육비행대를 수료하였다. 1950년 4월 공군사관학교 2기로 졸업하였고, 1959년 단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으며, 이후 1963년에 국방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50년 4월 공군 사관후보생으로 임관하여 1951년 8월부터 1953년 7월 휴전할 때까지 F-51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하여, 중공군의 보급로였던 승호리 철교 폭격작전에 참여하는 등 총 77번 출격하였다. 전쟁이 끝난 이후 공군 감찰감을 지냈고, 1971년부터 1974년까지 공군본부 작전국장‧공군본부 인사국장‧공군사관학교 교장‧공군본부 10‧11전투비행단장‧공군 군수사령관‧공군 작전사령관 등을 역임하였다. 1974년 7월부터 1979년 4월까지 4년 7개월 간 제13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한 후 예편하였다.

    12‧12사태 이후, 1979년 12월 14일부터 1982년 5월 21일까지 제22대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1983년 한국반공연맹 이사장을 거쳐, 1983년 7월부터 1985년 2월까지 제42대 내무부 장관을 지냈으며, 1985년부터 1989년까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등을 역임하였다.

    공군참모총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O-2A 항공기(전술항공통제임무기)‧A-37 공격기‧F-4E 전투기 등 여러 최신 공격기와 전투기를 도입하였고, 제83통신전자정비창과 제17‧18전투비행단을 창설하여 공군의 전력 증강에 힘썼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국방부장관으로 재직하던 시절 5‧18민주화운동 진압군의 자위권 발동을 명령하여 문민정부 때 12‧12사태와 5‧18 관련 재판에서 내란‧반란 등의 혐의로 대법원에서 7년형을 선고받았다가 사면되었다.

    1951년 충무무공훈장을 받았고, 을지무공훈장을 받았으며, 1952년과 1954년 각각 대통령 수장을 받았다. 1973년과 1975년 미국 공로훈장을 받았고, 1974년 보국훈장 통일장을 받았으며, 1985년 청조근정훈장을 받았고 이외에 에스파냐 대십자훈장‧인도네시아 1등 공로훈장‧미국 수훈비행 십자장을 받았다.

    [참고문헌]


    [집필자]

    차호연
    수정일 수정내역
    2011-10-31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상주주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주주씨  (0) 2016.06.15
주씨  (0) 2016.06.15